탑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메뉴닫기
서브메뉴

관객동아리 리뷰

home > 게시판 > 관객동아리 리뷰

<군산전기> (2020) - 문승욱, 유예진 / 글.우란

작성자 등록일 조회수
전주영화제작소 2023-07-26 114
[관객동아리 ‘씨네몽’ 회원 개봉작 리뷰]
<군산전기> (2020) - 감독 문승욱, 유예진


우리가 아는 이방인의 도시,<군산전기>



 대형 LED 위에 무용가 안나가 누워서 춤을 춘다. 그녀의 고요하게 뻗어가는 팔과 애절하게 꺾이는 다리가 피아노와 첼로의 선율과 만나면서, 역사가 기억이 되고 기록이 추억이 된 군산이 그곳에 사는 사람들과 함께 등장한다. 장소와 사람, 안나가 소개하는 군산은 장소가 아니라 사람으로 풀이되고, 영화는 처음부터 끝까지 그들을 일관적으로 '이방인'이라 소개한다. <군산전기>는 이방인, 군산을 이방인의 입을 통해 설명하는 장편 다큐멘터리다.

 다른 나라에서 온 사람, 이방인. 있는 그대로 읽으면, 꽤나 차갑고 낯설게 느껴진다. 나와 마주 보고 있지만, 심리적인 거리는 두 배 이상 멀어, 지금은 물론 앞으로도 섞일 마음이 전혀 없는 느낌이랄까. 하지만 <군산전기>의 이방인은 다르다. 영화가 조명하는 이방인엔 거부하지 못할 따뜻함이 묻어있다. 처음부터 눈과 귀로 파고드는 무용과 음악의 이끌림보다도 더 집중되는 무언가가 있다. 호기심이다. 호기심은 '이방인'을 거부할 수 없는 이유를 찾기 위한 발판으로, <군산전기>의 긴 궤도를 끝까지 지탱한다. 

 군산은 주민 몇백 병이 살던 작은 어촌 마을이었다. 영화는 그런 군산이 이방인들의 도시가 된 연유를 간단한 자막과 그때의 사건이 담긴 사진 자료로 대체한다. 일제 강점기, 일제의 쌀 수탈, 노동자들의 유입, 이후 군산을 둘러싼 희망과 좌절의 반복, 그 과거 위에 여전히 현재를 덧씌워 사는 지금의 군산. <군산전기>는 군산에 정착한 이들과 떠나는 이들을 인터뷰하며 중간중간 반짝였던 역사를 끼워 넣는다. 그리고 여전히 처음과 같은 분위기와 시선을 유지한다. 군산이란 환경은 군산에 소속되어 사는 이방인의 삶의 방식과 가치관 등으로 표출된다. 따라서 군산은 한결같이 정적이고 고요하며 동시에 인간적인 따스함으로 관객에게 다가온다. 일제의 잔재로 남은 건축물(벽돌식 콘크리트 건물 같은)에서도 그 기운은 계속된다. 멀리서 보고 가까이서 봐도 삭막하고 답답한데, 아이러니하게도 보면 볼수록 정반대의 감정을 갖게 하는 것이다. 역사적인 특성상 시간이 흐르면 흐를수록 노출되는 애절함과 애환, 나아가 고통은 이방인으로서의 군산에겐 이미 지나간 정류장일 뿐이다. 

 호기심의 답은 당연하게도 군산의 이방인들이다. 그들은 자신을, 고향을 떠나 군산에 정착한 외부인, 이방인이라 부른다. 이미 50년 넘게 살고 있지만, 쉽사리 군산을 자기 고향이라 말하지 않는다. 제2의 고향이란 말도 없다. 그들은 본인은 물론 이웃을 이방인이라 부르면서, 정작 진짜 이방인이라 생각하지 않는다. 이방인이면서 이방인이 아닌 삶. 단어란 껍데기만 남기고 그 안을 자신들의 언어로 채워 새로 만든 듯하다. 이들에게 '이방인'은 복잡하지 않은 동시에 단순하지 않다. 이러한 태도는 새로 군산에 유입되는 젊은 이방인에게도 쉽게 전이된다. 기존의 이방인이 새로운 이방인에게, 또 떠나려는 이방인에게 마음의 편차 없이 다가가는 방식은 그들이 처음 군산에 뿌리내린 방식과 맞닿아있다. 쉽게 행복과 불행을 나누지 않고 잔잔한 물결처럼 섞여 군산에 산다. 평이하지 않은 기록을, 평범하지 않았던 일들을 그대로 안고 사는 방식을 터득했다. 존재한다는 걸 아는 것만으로 그 존재의 파장을 억제하고 멈추는 건, 단순히 시간이 흐른다고 되는 것도 아니며, 할 수 있는 것도 아니다.

 <군산전기>는 이 모습을 보여주기 위해 의도적으로 관객까지 이방인으로 만들었다. 군산을 비추던 대형 LED 화면은 관객이 직접 넘나든 거대한 문이자 창이었다.

 군산은 일본에 의해 만들어진 계획도시로 시작했다. 그렇게 시작만 했다는 점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지금의 군산은 예전의 군산과 다르다. 군산이란 뼈대를 과거와 현재가 그대로 공유하고 있으나, 그 안을 채운 모든 것이 달라졌다. 이방인의 도시란 어감이 묘하게 공동체적으로 인식되는 것도 이 때문이다. 그 안엔 관객도 포함되어 있다. 


'마음을 열어요, 그리고 마주 보아요.' 우린 다 함께 산다, 계속 살고 있다.


- 관객동아리 씨네몽, 우란
..이 게시물을 블로그/카페로 소스 퍼가기 twitter로 보내기 facebook으로 보내기
이전글 <디어 마이 러브> (2022) - 클라우스 해로 / 글.심규문 2023-07-26
다음글 <비밀의 언덕> (2022) - 이지은 / 글.김수예 2023-07-21



△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