탑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메뉴닫기
서브메뉴

관객동아리 리뷰

home > 게시판 > 관객동아리 리뷰

<작은 빛> (2018) - 조민재 / 글. 김진실

작성자 등록일 조회수
전주영화제작소 2020-10-22 575
[ 관객동아리 ‘씨네몽’ 회원 개봉작 리뷰 ]
 <작은 빛> (2018) / 조민재


새 폴더의 이름은 아빠였을, <작은 빛>


*본 리뷰에는 영화의 결말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진무는 무엇을 기억하고자 했을까?" 뇌수술을 한 뒤 기억을 잃을 수 있다는 의사에 말에 그는 캠코더를 들고 고향 집을 방문한다. <작은 빛>은 진무가 캠코더로 담은 한 가족의 일상을 엮어 만든 작품이다. 그런데 이야기가 전개될수록 진무의 마음을 알 수 없다. 이 작품은 보이는 게 전부가 아니다. 지극히 평범해 보이는 진무 가족의 식탁에 무언가가 웅크리고 숨어있다는 것을 모르는 이는 없을 테니까. <작은 빛>이 의도적으로 숨긴 진무의 속사정은 무엇일까. 왜 어머니와 누나, 형의 이름으로 된 폴더가 있음에도, 새 폴더를 만들고 이름이 수정되는 그때, 카메라를 다른 곳으로 돌리는 걸까. 기억하기 위해 가족을 찾아가는 주인공의 행동에서 중요하게 봐야 할 점이 '기억'이 아닌 '어떤 다른 것'이란 얘기인데. 그렇다면 그가 캠코더를 꺼낸 진짜 이유는 뭘까? 왜 그는 자꾸 가족들에게 과거의 기억을 묻는 것일까. 자 이제 관객이 품을 물음은 바뀔 수밖에 없다. "그는 왜 기억해내려고 하는가?"

진무는 엄마와 형, 그리고 누나를 차례대로 찾아간다. 그들을 인터뷰하면서 똑같은 질문을 한다. "이때 기억나?" 그가 담고 싶어 하는 가족의 모습은 현재보단 과거에 집중되어 있다. 왜 현재가 아닌 과거일까. 적어도 그만은 다른 가족과 달리 '어린 시절에 더 많은 추억' 혹은 '풀어내야만 할 응어리'가 있어 보인다. 그리고 형과의 만남에서 이전까지는 전혀 알 수 없었던 진무의 가족사가 처음으로 드러난다. 엄마는 누나를 데리고, 아들이 있는 아빠와 결혼을 해 진무를 낳았다. 그러나 수녀의 소개로 만난 아빠는 무자비한 가정폭력범이었고, 엄마는 자신의 인생에서 가장 잘못한 일을 '아빠와의 결혼'이라 못 박는다. 형도, 누나도 아빠의 존재를 부정하고 모멸 차게 비난할 뿐이다. 그런데 이상하게 진무는 그들의 확신에 동의하고 싶지 않다. 오히려 그들이 아빠를 머나먼 과거로 묻고 살아가는 것에 회의를 느낀다. 그렇다면 나의 존재는 무엇일까. 

진무는 결국 엄마 앞에서 아빠의 양복을 입은 채 조심스럽게 자신의 솔직한 감정을 털어놓는다. 그가 기록하고자 했던 것은 아빠에 관한 것이었다. 아빠였으니까. 아빠와 행복했던 기억, 온 가족과 함께 웃고 떠들었던 기억, 그런 행복한 순간들이 분명히 있었음을 진무는 끝까지 기억해두고 싶었다. 요절해버린 아빠의 산소를 큰아빠네 가족에게 방치해버린 사실은 현재진행형이었으니까. 그러나 어떻게 다 진무의 마음과 같을까. 이는 엄마의 집에 고장 난 전등을 새로운 전등으로 교체하는 것과 같다. 엄마의 마음에, 새로운 빛이 들어올까? 아니다, 과거를 기억하는 것은 오롯이 개인의 선택 문제다. 누구도 강요할 수 없다. 결국, 이전과 같은 빛을 내일도 똑같이 받고 있단 마음이 망부석이면 끝인 것이다. 아무리 빛이 따스하게 그들을 비춰도 당사자들은 알 길이 없다. 다만 진무는 여전히 아프고 슬픈 것이고 당장 내일이 급급한 인생을 사는 엄마, 누나, 형은 분노를 억누르며 모른 척, 잊어버리고 사는 것이다.

그래서 진무는 홀로 아빠의 유골을 수습한다. 누구도 나서지 않는 순간에도 그는 아빠를 새로운 곳에 모시기 위해 관을 관통한 나무의 뿌리와 씨름한다. 그만이 과거에 온몸으로 부딪히고 있었다. "어떻게 죽어서도 지랄이야!"라고 소리치는 엄마를 뒤로하고 혼자 무덤 깊숙이 들어가는 그를 보고, 참 다행이었다. 그는 그 나름의 제일 나은 방법으로 '아빠'를 극복하는 중이었다. 춤을 잘 췄던 형과 작가 지망생이었던 누나, 그리고 의상실에 출근하던 엄마의 모습이 진무의 마음속 캠코더에 담기는 순간이기도 했다. 

일렬로 내려오는 가족들, 제일 앞에 앞장서서 아빠를 담고 오는 진무에게 유난히 빛이 몰려있다. 그간 털어낼 수 없었던 아빠에 관한 복합적인 감정이 점차 진무에게서 빠져나갈 때, <작은 빛>에 가졌던 물음의 답도 함께 떠오른다. 아빠 양복을 입었던 진무의 손을 꼭 잡으며, "어제 아빠 양복을 입은 너를 보니 아빠에게 고맙더라."라 말하던 엄마의 진심이 한 줌의 빛으로 그의 아픔을 치유한 것처럼, 진무가 반드시 기억해내고자 했던 과거는 이제 정말 평범한 추억으로 변했다. 아빠의 카메라 속에 있던 사진을 언제든 꺼내보며 가족들과 함께 웃을 수 있는 보통의 삶이 이제 진무에게도 펼쳐지겠지.

새 폴더의 주인을 명확하게 가리키는 <작은 빛>의 여정은 친절하고 편안하다. 그래서 가슴이 아려오지만, 끝에 스며든 빛에 만족하게 된다. 진무가 전한 빛이 온 가족에게 전해질 때, 그들의 입에서도 푸념 섞인 웃음과 실없는 미소가 터져 나올 때 그들이 매일 쬐던 빛이 내일은 다를 것이라 장담할 수 있게 한 <작은 빛>에 고마움을 느낀다.


- 글. 영화동아리 씨네몽 김진실
..이 게시물을 블로그/카페로 소스 퍼가기 twitter로 보내기 facebook으로 보내기
이전글 <페인 앤 글로리> (2019) - 페드로 알모도바르 / 글. 심규문 2020-10-22
다음글 <타오르는 여인의 초상> (2019) - 셀린 시아마 / 글. 김수예 2020-10-22



△ TOP